B2ar
Mail    Guest    RSS    Admin.    Write
분류 전체보기 (609)
B2ar with toys (195)
B2ar의 가내수공업 (146)
뚜벅이 여행기 (57)
입으로 여행기 (189)
또다른 이야기 (19)
자료실 (0)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609건
2015. 8. 9. 01:06

MLT-09 출연자 확정명단



정말 마리텔 피디는 시청자와의 전쟁을 하는듯


지난번엔 출연자 실루엣을 회전시켜가며 보여주더니


오늘 마이리틀텔레비전 예고편에는


실루엣을 조각내서 큐브처럼 돌려버리네요 ㅋㅋ










마리텔 PD도 창의력이 대단하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네티즌수사대는 그 능력을 더욱 빛냈죠







MLT-09 출연자는


황재근, 김구라, 김영만, 이은결, 오세득


입니다.





사실.... 본방송내용도 재밌지만 다음 출연자 찾는것 자체도 마리텔의 인기몰이에 더하는것 같습니다.





2015. 8. 8. 11:58

열대야엔 이열치열! 불닭볶음면 도전기



전국적으로 기록적인 무더위가 계속되고


그 기세에 달궈진 땅은 밤늦게까지 계속되는


대한민국의 잠못드는밤 열대야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B2ar 역시 32도가 넘는 열대야 속에서 몸부림을 쳐보지만


이미 달궈질대로 달궈진 실내공기에 선풍기는 뜨거운 바람만...



그래서 이런 무더위를 벗어나는 방법을 생각하던중 더울때 땀흘리며 음식을 먹는 이열치열이 생각났지만


숨만쉬고 있어도 땀이나는데 불앞에서 요리를 하는건 자살행위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겐 야식의 최고봉!!! 라면이 있습니다.


그리고 땀을 확 빼주는데 최고라고 생각하는 불닭볶음면을 꺼내 보았습니다.







양이 많은 B2ar은 밤늦은 시간이었지만 불닭볶음면을 두봉이나 꺼냈습니다.







아..... 저 검붉은빛의 불닭볶음면소스를 보라!!


식욕이 뚝 떨어진 여름철 무더위 속에서도 저 소스만 보고 있노라면


입속에 침이 콸콸콸..... ㅎㅎㅎ







냄비에 물을 올리고 물이 끓기 시작하면 면을 넣고 팔팔 끓여줍니다.







음.... 응? 설겆이를 제대로 안했나? ㅋㅋㅋ


거품이 바글바글바글바글 ㅋ








그리고 이제는 전국민이 안다는 면발을 쫄깃하게 만드는 비법!!


면을 자꾸 들었다 놨다 공기와 접촉시켜 순간적으로 식게 해주는 방법입니다만




뜨거워서 하다가 말았습니다;;;







면이 완전히 풀어지고 푹 익었을때즈음 불을 끄고








체에 받쳐 물을 따라냅니다.



설마 찬물에 면을 행구는 분은 없겠죠?


저는 호기심에 찬물로 헹궈서 먹어본적이 있는데 역시 뜨거움이 없어서 그런가


매운맛이 제대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역시 진정한 매운맛은 뜨거움과 콤보로 작용할때 제대로 느낄수 있는것같습니다.







면만 건져낸뒤 불닭볶음면 소스와 후레이크를 올리고







잘 비벼줍니다.








그리고 우걱 우걱.......



습..... 파..... 후..... 아...... she....... b.......


왜..... 아놔...... 흡..... 씁....... 수..... 아.......







아..... 이런..... Ship........ 끄,아아아아아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서... 맛은?



Don't try this at home!!


아무리 이열치열이고 나발이고 이런 더위에 이런 매운음식을 먹는건 미친짓인것 같습니다.


입안에서는 불이났고 얼굴과 온몸에서는 땀이 미친듯이 흐르기 시작했습니다.



아무리 선풍기를 강에 놓고 바람을 쐬도 체감상 전혀 시원해지지 않았습니다.



결국 샤워기의 물줄기속에 입을 벌리고 한참을 서 있었습니다.




웬만해서는 더울때 불닭볶음면에 도전하지 마시길....




------------------------------------------------------------------------------------



오늘아침 화장실상황 보고



밤새 아린듯 쓰라렸던 속은 괜찮아 졌지만 엉덩이에 불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2015. 8. 7. 10:00

자작 전조등 눈부심 방지갓 - U2미니줌 눈부심 방지갓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 사이에서


국민 전조등이라 불리는 U2 미니줌



이녀석은 최대밝기 1300 루멘으로,


불빛을 눈으로 직접보면 잠깐동안


아무것도 안보일정도로 불빛이 강합니다.



자전거를 타는도중 반대편에서 이런 강력한 빛때문에 순간적으로 시야를 잃는 경우가 있는데


자전거 라이더들 사이에서는 흔한말로 눈뽕이라 부릅니다.



자전거 라이딩중 눈뽕을 당하게 되면 몇초동안은 앞이 보이지 않아서


선행차나 반대편차량, 후행차와 추돌사고는 물론, 도로 구조물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이런 눈뽕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라이트 각도를 내리거나, 눈부심 방지갓을 설치하면 됩니다


그리고 오늘은 자전거 전조등 눈부심 방지갓을 자작해 보았습니다.







얼마전에 매우 저렴하게 구매한 U2 미니줌입니다.


U2 미니줌의 개봉기와 성능테스트는 아래 링크의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2 미니줌 개봉기, 사용기 : http://jkman001.tistory.com/509







그런데 자작을 하다보면 생기는 문제가 눈부심방지갓을 라이트에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일반적인으로 고무줄이나 케이블타이, 타이어튜브로 고정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탈착이 쉽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했으면 좋겠다 생각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눈에띈 고장난 라이트거치대!!!








이 거치대를 위 사진속 흰색 점선대로 절단하여 앞쪽부분을 눈부심 방지갓을 고정하는


브라켓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 방법이 좋은이유는 나사로 강하게 고정이 가능하고, 손쉬운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가공작업은 그렇게 어렵지 않았습니다.


니퍼로 필요없는 부분들을 뚝뚝 잘라낸뒤, 만능 실톱을 이용해 절단하였습니다.







그리고 거친 절단면은사포로 갈아내려 하였지만......


집에 사포가 없......



결국 발바닥 굳은살제거기에 있는 사포같은면으로 절단면을 깨끗하게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눈부심 방지갓은 프링글스 뚜껑을 잘라서 사용하려 하였습니다.








음.... 방지갓 크기가 좀 많이 작은 느낌이네요







그러던 중 유상무잘생겼다 이벤트 상품으로 마신 스타벅스 아이스아메리카노 테이크아웃잔이 눈에 뛰고


오호라... 이걸 잘라서 쓰면 딱 좋겠다 싶어서 가위로 재단하였습니다.








그리고 라이트에 끼워서 불을 켜 봤는데.... 응?



이거 좀 짱같은데?!!!







스타벅스 로고부분을 제외하고 다른부분에 은박테이프를 붙여


빛이 투과되지 않고 아래쪽으로 반사되게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눈부심 방지갓을 브라켓에 접착해야 하는데


역시 양면테이프 만한것이 없더군요 ㅎㅎ






돼지표 본드로 해결하지 못한것이 양면테이프 하나로 끝!!!


역시 애플이 양면테이프를 사랑하는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작동테스트!







U2 미니줌에 자작 눈부심 방지갓을 장착한 상태로 100% 출력, 노줌모드에서 빛을 비춰보았습니다.



음... 이정도면 ㅎㅎ







그리고 이 방지갓의 진가는 역시 불을 켰을때 나타납니다 ㅎㅎ








어때요? 뭔가 탐나지 않나요? ㅎㅎ


다음엔 다른 커피숍 로고를 이용해서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2015. 8. 5. 13:02

시중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총 정리



시중은행들의 atm 이용 수수료를 알아보는


12번째 연재 포스팅!



오늘은 국내 시중은행들중 앞서 포스팅한


11개 은행들의 atm 수수료를 총 정리해볼까 합니다.



그런데 잠깐!!!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은행들의 영업시간을 알아보면


우체국과 sc제일은행을 제외한 모든 은행들의 영업시간은 09:00 ~ 16:00 입니다.



우체국과 sc제일은행은 다른은행들과는 달리 09:30  ~ 16:30 입니다.



그러면 국내 시중은행들의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영업시간내

영업시간외

10만원이하

10만원초과

10만원이하

10만원초과

국민은행

기기이용

출금

프리미엄

면제

150원

300원

일반

면제

250원

500원

다른은행카드 입금

700원

1,000원

계좌송금

당행

면제

면제

다른은행

500원

1,000원

500원

1,000원

다른은행

기기이용

출금

600원

900원

계좌송금

500원

1,000원

500원

1,000원

  • 다른은행카드 이용고객은 해당은행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 공휴일 또는 평일 08시30분 이전이나 18시 이후(토요일:14시이후)에는 시간외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 만 18세 미만 또는 만 65세 이상 이용 고객은 수수료 20% 할인
  • 연속출금하는 경우 수수료 50%할인
    - 국민은행기기에서 현금 100만원 초과 출금할 때 "연속출금 화면버튼"을 누른 경우에 한함(최고 5회 할인 적용)
    - 2회차부터 출금금액이 10만원 초과인 경우 적용
  • 연계(가상)계좌는 은행 고유 예금이 아니므로 거래할 때 별도의 수수료가 적용됩니다.

자료출처 : 국민은행 인터넷 홈페이지 안내페이지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24843





우리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운영시간

수수료

우리은행간

현금인출

영업시간외 5만원 이하 인출

 

또는 당일 중 동일계좌에서


2회째 인출시 250

22:00~24:00

500

24:00~익일 06:00

평일 : 18:10~22:00

/ 06:00~08:30

토요일 : 14:00~22:00

 / 06:00~08:30

공휴일 : 06:00~22:00

타행간

현금인출

영업시간 중

당일(0~24),

동일계좌에서 2회째 인출 시부터

 마감 전 550, 마감 후 600

700

800

영업시간외

계좌이체

영업시간 중

평일 : 8:30~17:00

토요일 : 8:30~14:00

10만원 이하

500

10만원 초과

750

영업시간외

평일 : 17:00~익영업일 08:30

토요일 : 14:00~익영업일 08:30 

10만원 이하

750

10만원 초과

1,000

출처 : 우리은행 홈페이지 https://spib.wooribank.com/pib/Dream?withyou=CMCOM0243







하나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영업시간중

영업시간외

당행카드

현금인출

5만원 이하

면제

250

5만원 초과

500

당행계좌로 이체

면제

면제

타행계좌로 이체

10만원 이하

500

600

10만원 초과

700

900

타행카드로 현금입금

500

600

당행카드로 현금 연속출금시 수수료인하 적용
- 최소 인출시 정상수수료 적용 영업시간 외 현금인출 거래중 직전거래 1시간 이내 출금시 인출수수료 50%감면

5만원 이하 소액인출할인과 연속출금할인은 상호간 중복적용되지 않으며, 감면율과도 추가 중복적용 없음

외환은행카드 사용시 외환은행 자동화기기 이용수수료와 동일한 수수료 적용됨

  출처 : 하나은행 홈페이지 http://www.hanabank.com/nhana/finmall/CaSav0001/CaSav000104/CaSav00010402/index.htmL






sc제일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당행 카드/통장

타행카드

당행기기 출금

타행기기 출금

당행이체

타행이체

입금

지로

출금 및 이체

10만원이하

10만원초과

마감 전

면제

900

면제

800

1,000

1,000

거래 건당

400

카드 발급 은행

이용 수수료 적용

마감 후

600

(연속 출금시

두번째 거래부터

300)

1,000

면제

1,000

1,200

수납불가

* 마감 후 시간

평일 : 오전 830분 이전, 오후 6시 이후

토요일 : 오전 830분 이전, 오후 2시 이후

일요일 및 공휴일 등

 출처 : SC제일은행 홈페이지 https://www.standardchartered.co.kr/np/kr/cms/pl/wb/Atm.jsp






외환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수수료

이용매체

이용업무

마감전
평일
08:30~17:00
토요일 08:30~14:00

마감후
마감전 이외의 시간,
공휴일 (토요일 포함)

외환은행
카드
/통장

출금

면제

500
(당행 프라임고객은 면제)

외환은행 앞 계좌이체

다른은행 기기이용 출금

700

900

타행 앞
계좌이체

10만원 이하

500

600

10만원 초과

800

900

타행카드

타행입금1)

10만원 이하

500

600

10만원 초과

800

900

출금/계좌이체

해당은행 기준에 따름

이용시간

시간내 코너 : 09:00 ~ 16:00(토요일 및 공휴일 운영안함)

365일 코너 : 07:00~23:30 (점외365코너는 08:00~22:00, 연중무휴)
, 코너별 특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24시간 코너 : 24시간 운영 (연중무휴)

자세한 코너별 운영시간은 위 자동화코너 찾기 참조

출처 : 외환은행 홈페이지 http://www.keb.co.kr/IBS/nkeb/jsp/ncustomer/kor/PCS7306P.jsp?highlightmenuid=PCS7306P#none






신한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이용매체

이용업무

마감 전 수수료

-   08:30~18:00

-토요일 08:30~14:00

마감 후 수수료

- 마감 전 이외의 시간

- 은행 휴무일

신한은행
카드
/통장

신한은행 기기 이용 출금

면제

5만원 이하

250

5만원 초과

500

신한은행으로 보낼 때

면제

면제

다른 은행 기기 이용 출금

700

900

다른 은행으로
보낼 때

10만원 이하

500

600

10만원 초과

800

1,000

다른 은행 카드

입금

700

900

출금/계좌이체

해당은행 기준에 따름

주의

다른 은행 이체 및 다른 은행기기를 이용한 거래는 평일 17:00부터 마감후로 적용합니다.
, 토요일은 14:00부터 마감후로 적용합니다.

공휴일 및 휴일 : 마감후 수수료 부과기준에 따릅니다.

다른 은행 카드는 해당은행 이용수수료 부과기준에 따릅니다.

신한은행 자동화기기 출금 수수료

- 면제 대상자 : 장애인, 국가유공상이자, 독립유공자 및 유가족

- 50% 감면 대상자 : 미성년자(18세 이하 학생 등), 경로자(65세 이상 노인)

출처 : 신한은행 홈페이지 http://cs.shinhan.com/websquare/websquare_contents.jsp?w2xPath=/contents/guide/commntime/commntime_03.xml&





citi 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자동화기기

출금(건당)

당행기기

영업시간 내

0

영업시간 외

500

타행기기

영업시간 내

800

영업시간 외

900

이체(건당)

당행이체

영업시간 내

0

영업시간 외

0

타행이체

영업시간 내

10만원 이하

0

10만원 초과

800

영업시간 외

10만원 이하

700

10만원 초과

1,000

입금(건당)

타행카드입금

영업시간 내

1,000

영업시간 외

1,600

타행카드 사용 고객은 해당(발급)은행 수수료 체계를 적용함

영업시간외 (수수료 부과기준):평일 18:00이후부터 익일 07:00까지

                                      토요일 14:00 이후 / 법정공휴일

출처 : citi 은행 홈페이지 http://www.citibank.co.kr/








우체국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수수료

온라인송금

면제

자동화기기
(CD/ATM)
(
우체국간)

현금인출

영업시간내

면제

영업시간외

500
※ 5만원 이하 또는

연속 인출 거래 시
250

계좌이체

면제

자동화기기(CD/ATM)(우체국간) 수수료 감면

55세 이상은 이용수수료의 50% 감면, 65세 이상은 면제 (내국인에 한함 : 주민등록번호 부여자)

CD/ATM
(
공동망)

현금인출

영업시간내

600

영업시간외

800

계좌이체

10만원이하(영업시간 내)

500

10만원이하(영업시간 외)

600

10만원이상(영업시간 내)

750

10만원이상(영업시간 외)

1,000

타행카드 입금

영업시간 내

900

영업시간 외

1200

 자동화기기(CD/ATM)(다른 은행) 영업시간

평 일 : 08:30 ~ 18:00 (, 토요일은 08:30 ~ 14:00)

영업시간외 : 영업시간을 제외한 시간 및 공휴일

 자료출처 : 우체국 홈페이지 http://www.epostbank.go.kr/






IBK 기업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자동화 기기
이용 수수료

IBK기업 은행

자동화기기를

이용할 경우

현금출금

무료

-기업은행 카드 기준 -
다른 은행 카드는 발행은행의
-수수료 체계에 따름
-(, 현금입금은 제외)

현금 송금

기업은행으로 보낼 때

무료

타행으로 보낼 때

10만원 이하 : 건당 500

10만원 초과 : 건당 700

현금 입금

기업은행 카드인 경우

무료

다른 은행 카드인 경우

건당 500

다른 은행

자동화기기를

이용할 경우

현금출금

건당 700

현 금 송 금

기업은행으로 보낼 때

다른 은행으로 보낼 때

10만원 이하 건당 : 500

10만원 초과 건당 : 700

출처 : IBK기업은행 홈페이지 http://www.ibk.co.kr/inform/detailTime.ibk?pageId=CM01050200

 ATM 이용시간의 경우 ATM입점위치에 따라 다르며, 지하철역사에 설치된 자동화기기의 경우 해당역사의 운영시간과 동일합니다.

이외의 자세한 ATM 이용시간에 대한 정보는 다음링크의 IBK 기업은행 ATM 위치 찾기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IBK기업은행 ATM 위치 찾기 : http://kiupbank.chzero.com/main.jsp?menu=2&s_menu=1






NH농협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영업시간 내

영업시간 외

3만원 이하

10만원 이하

10만원 초과

3만원 이하

10만원 이하

10만원 초과

농협
자동화 기기
이용 시

출금

면제

250

500

이체

농협계좌

면제

면제

타행계좌

400

500

900

700

800

1,000

타행
자동화기기
이용 시

출금

800

1,000

이체

500

900

800

1,000

- 이용한도 적용 기준 : 08:30 ~ 18:00

- 수수료 적용 기준 : 평일 08:30 ~ 18:00, 토요일 08:30~14:00

- CD/ATM 운용시간은 영업점 사정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 토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영업시간 외 기준적용

- 65 세 이상 고객님께는 출금 거래시 100원 추가할인 (농협자동화 기기만 적용)

- 당일 영업시간 외에 3만원 초과 출금 시 2회차 거래부터는 수수료의 50%가 감면됩니다

출처 : 농협 홈페이지 https://banking.nonghyup.com/servlet/content/ip/al/ipal1514c.thtml






MG새마을금고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구분

영업시간내

영업시간외

10만원 이하

10만원 초과

5만원 이하

10만원 이하

10만원 초과

금고기기
이용

현금인출

면제

200

400

계좌이체

금고→금고

면제

면제

금고→타행

600

800

800

1,000

타행카드입금

1,000

1,000

타행기기
이용

현금인출

700

900

계좌이체

600

800

800

1,000

기기 이용시간 및 영업시간 구분

- 새마을금고 자동화기기는 36524시간 이용이 가능합니다. (시스템점검시간 23:55~00:15)
- 단, 기기의 운영시간은 개별 금고가 정함

- 영업시간 내 : 평일 08:30~18:00, 토요일 08:30~14:00

- 영업시간 외 : 공휴일 및 영업시간 내 이외의 시간

출처: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https://www.kfcc.co.kr/customer/cus0407.jsp





국내 시중은행들의 외화송금, 외화 수취 수수료



1. 국민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7


2. 우리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7


3. SC제일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8


4. 하나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9


5. 신한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9


6. 외환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1


7. 한국씨티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1


8. NH농협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2


9. KDB산업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2


10. 신한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7


11. IBK기업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7





2015. 8. 4. 13:50

U2 미니줌 개봉과 사용기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헬멧과 더불어


필요한 안전장비라면 역시 라이트 입니다.



라이트는 단순히 어두운길을 밝게 밝혀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위치와 방향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입니다.



특히 가로등이 없거나 나무잎에 의해 가려져서 매우 어두운 길을 주행할때 라이트가 없이 주행한다면


반대편에서 오는 자전거와 충돌할 수 있으며, 포트홀이나 도랑에 빠지는 상황이 찾아 올 수 있습니다.



그럼 자전거 라이더들은 어떤 라이트를 사용할까요?


오늘은 자전거 라이더들에게 국민 전조등이라 불리는 U2 미니줌 라이트를 소개할까 합니다.



이녀석도 얼마전 쿠팡이벤트때 할인받아서 5500원에 구매한 녀석입니다 ㅎㅎ







U2 라이트를 만드는 회사는 꽤 많이 있습니다만,


라이트 내부에 들어가는 LED는 미국의 CREE 사에서 제조합니다.


그리고 Q5, R5, T6, U2, L2의 라이트 모델명에 포함된 이 문구들은 해당 라이트에 사용된


LED칩의 등급을 구분해 놓은 것입니다.



이러한 등급은 LED칩의 성능에 따라 밝기, 발열량, 전력소모량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게됩니다.



그중에서 제가 구매한 U2 미니줌 라이트의 경우 1300 루멘의 밝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대략적인 설명은 이만하고 본격적인 개봉기로 넘어가도록 하지요


짱짱해보이는 케이스를 열면 위와같은 구성품이 들어 있습니다.


아마도 세트상품이라 그런것같습니다만 어쩐지 라이트 곳곳에 사용흔적이 보이는;;;;;;







그리고 제조사는 블랙울프나 스나이퍼코리아가 아닌 빌리언!!!


급하게 네이버에 제조사를 검색해 보았으나 찾아지지 않습니다?


이 말인즉슨 AS가 참 어렵겠구나... 싶습니다.



그냥 애지중지 다뤄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배터리는 18650 규격의 2400 mAh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야간에 장시간라이딩을 한번 해봐서 얼마나 오래가나 체크해 봐야겠습니다.







배터리는 라이트 뒤쪽의 스위치뭉치를 돌려서 풀어준뒤 삽입하면 됩니다.








함께 딸려온 18650 배터리 충전기는 micro 5 pin (쉬운말로 스마트폰 충전기) 으로 충전이 가능하네요







그리고 미니줌 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앞쪽 렌즈부분을 밀고 당겨서 모드를 바꿔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줌모드에서는 빛의 멀리까지 쭉쭉 뻗어나가지만 시야가 좁아지고


노줌모드에서는 빛이 멀리가지는 못하지만 주변이 밝아집니다.







그리고 본격 사용기에 앞서 무게를 측정!


배터리와 스트랩을 포함한 무게는 118.4 g 입니다.



그래도 라이트 몸체가 LED칩의 발열을 냉각하기위해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서인지


그립감은 약간 묵직한 느낌이 듭니다.





그럼 본격적인 사용기로 넘어가기 위해 집 근처의 공사장을 찾았습니다.



*본 사용기에 사용된 카메라 촬영세팅은


셔터스피드 : 1/4 s, F 2.7, ISO 800 으로 모두 동일하게 촬영하였으며


모든 사진 좌측 하단에 Exif 정보를 기입하였습니다.







우선 출력 100%로 노줌모드와 줌모드의 차이를 알아 보았습니다.



확실히 줌모드는 멀리까지 밝게 비추지만 시야가 답답하네요


반면에 노줌모드는 빛이 멀리 가지는 못하지만 광각이 넓었습니다.




야간라이딩 할 때에 주변에 조명이 전혀 없는 상황이라면 노줌모드로 시야확보를 하고


주변 조명이 조금 있는 상황이라면 줌모드로 놓고 다니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다음으로는 노줌 모드의 출력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사실 100% 출력은 조금 과한 느낌이 없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공사장을 오가며 라이딩 해 볼때에는 주변의 조명이 전혀 없음에도 불구하고


50%의 출력만으로도 충분하다 싶었습니다.








다음은 U2 미니줌을 줌모드에 놓고 출력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근거리를 비추어서 그런지 실제 체감상 50%와 100%는 밝기에서 큰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줌모드 100% 출력의 진가는 멀리있는곳을 비출때 발휘했습니다.




도데체 이 빛이 어디까지 나가는것인지.... 거의 100m 거리의 물체도 비추는걸 보니


일반도로를 이용하거나, 아파트단지 등등의 주거지역에서는 절대로 줌모드 100%에 놓으면 안되겠다 싶었습니다.








이번에는 라이트를 자전거에 거치한 상태로 줌모드와 노줌모드로, 출력을 바꿔가며 촬영해 보았습니다.


확실히 주변의 조명이 거의 없는 곳에서 촬영했기 때문인지 줌모드보다는 노줌모드가 좋아보입니다.






그래서 개봉기와 사용기의 결론은?



확실히 밝고 좋습니다. 게다가 줌모드와 노줌모드를 바꿔가며 상황에 따라 활용가능한점도 흡족합니다.


더욱이 생활방수를 지원하며, 깜빡이 모드와 SOS 모드 등의 다양한 발광모드도 마음에 듭니다.



하지만


발열이 너무 심해서 등산과 캡핑, 낚시와 같은 다른 아웃도어에 활용하기는 어렵지 싶습니다.


100% 출력으로 30초만 틀고 있어도 렌즈부분이 뜨끈뜨끈하고


2분을 틀고있으니 뜨거운느낌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또한


밝기가 생각보다 떨어지는 느낌입니다.


어쩐지 이전에 사용하더 T6 라이트보다 더 어두운 느낌이 들고, 시야각도 답답한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이전에 사용하던 T6 라이트는 고장이 났기때문에 비교가 어렵다는점....



어쨌던!


저렴한가격에 그냥저냥 쓰기는 좋아보입니다만


다른 라이더들의 제보에 의하면 라이딩도중 노면충격으로 인해 제멋대로 노줌에서 줌모드로 바뀐다고....


배터리가 의외로 빨리 소모된다는점.....


뭐 이런거는 직접 테스트해보고 다시 사용기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015. 8. 3. 16:25

금융감독원 무료 otp 이벤트 우리은행 otp 수령기 - 는 실패



금융감독원과 경찰청 에서는 현재 금융사기예방을 위해


간단한 퀴즈를 맞추면 시중 은행들의 OTP를 무료로 제공하는


금융사기예방퀴즈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도 이 이벤트에 참여한 바 있지요


http://jkman001.tistory.com/496



이 이벤트는 9월 12일 까지 이기 때문에 혹시나 인터넷뱅킹용 otp를 무료로 가지고 싶은 분들은 아직도 참여가 가능 합니다.


http://phishing-keeper.fss.or.kr/fss/vstop/event.html







아무튼 저는 지난 7월 17일에 이 이벤트에 참여 했었고, 지난 7월 30일 부터 OTP 수령이 가능했습니다.


여기서 문제는 이벤트 참여당시 제가 거래하고 있는 은행들의 OTP 재고가 모두 소진된 상태였고



계좌가 없는 은행인 우리은행 OTP를 신청했던 겁니다.




그리고 오늘 혹시나 하는마음에 우리은행에 OTP를 수령하러 방문해 보았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이야기 해 보자면 계좌가 없어서 OTP수령은 불가능 했고,


그래서 계좌를 만들려고 시도하였지만 이 마저도 실패 하였습니다.







이유는 증빙서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최근 전자금융거래법의 개정으로 입출금통장을 개설할 때에는 증빙자료가 필요합니다.




구분

증빙자료

 급여통장

명함 / 재직증명서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등 소득증빙서류

 사업자통장

 물품공급계약서 / 납세증명원 / 전자세금계산서 / 부가가치세증명원 / 제무재표

 아르바이트통장

 고용주 사업자등록증/ 근로계약서 or 급여명세서 등 소득증빙서류

 입출금용

 공과금 / 관리비이체 (증빙자료 : 납부영수증)

 모임용

 구성원 명부, 회칙


그리고 위 표에 적힌 증빙자료들이 바로 우리은행에서 신규통장을 개설할 때 필요한 서류들입니다.


물론 이중에서 한가지가 필요하다고 하네요




다음번에는 아파트 관리비 납부영수증이라도 들고 가서 계좌를 만들고 otp를 받아와야겠네요;;;;




2015. 7. 31. 13:01

해외송금수수료와 외화수취 수수료 - 신한은행, 기업은행



비록 국내에서만 금융거래를 한다해도


누구나 한번쯤은 이런 경험 있을겁니다.


바로 다른나라의 통화를 주고받는 외환거래입니다.



요즘 개인의 외환거래는 해외결제가 가능한


신용카드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을것입니다만


해외의 가족에게 돈을 송금한다거나 반대로 해외에서 외환을 수취할때 알아야할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그래서 준비한 해외송금 수수료와 외화수취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알아보는 연재포스팅 마지막편.


오늘은 신한은행과 기업은행의 해외송금수수료와 외화수취 수수료를 준비했습니다.



혹시나 다른 시중은행들의 해외송금수수료와 외화수취수수료가 궁금한분들은


아래 링크의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국민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7


2. 우리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7


3. SC제일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8


4. 하나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9


5. 신한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499


6. 외환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1


7. 한국씨티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1


8. NH농협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2


9. KDB산업은행 외화송금, 외화수취수수료 : http://jkman001.tistory.com/502




신한은행 해외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기업은행 해외송금, 외화수취 수수료


(영문은행명, SWIFT code 포함)







오늘 포스팅으로 알아본 신한은행의 외환송금수수료는 창구와 인터넷 뱅킹의 구분없이


외환송금액에 따라 수수료가 책정되어 있는것이 특징입니다.



앞서 살펴본 다른은행들의 경우(KDB산업은행 제외) 창구거래보다 인터넷뱅킹 이용시 적은 수수료가


발생하였지만, 신한은행은 미화 5천불 상당액 초과시 10,000원으로 인터넷과 창구 수수료가 동일합니다.


하지만 다른은행들의 송금수수료가 최대 20,000원 인것을 감안해 보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의 경우 다른은행들과 비슷한 수준의 송금 수수료가 책정되어 있습니다.


창구이용시 최고수수료는 20,000원, 인터넷뱅킹을 이용한 경우 최고수수료는 10,000원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두 은행을 통한 국내에서 외화를 수취할 경우 필요한 영문풀네임과 스위프트코드를 추가하였습니다.


필요한분께는 도움이 될만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알아두면 편리한 은행별 atm 이용시간과 수수료



1. KB국민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79

 

2. 우리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83


3. 하나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84


4. SC제일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85


5. 외환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88


6. 신한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89


7. citi 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90


8. 우체국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92


9. 기업은행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93

10. NH농협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94

11. MG새마을금고 atm 수수료와 이용시간 http://jkman001.tistory.com/495






2015. 7. 30. 10:17

블루투스 스피커 Britz BZ-G100 개봉기



요즘 자전거를 타는 사람(라이더)들 사이에서


핫한 아이템이 있다면 바로 블루투스 스피커입니다.


라이딩중 주변경치 감상만으로 부족할때


음악이 함께 한다면 기분도, 힘도 쑥쑥 오르는 느낌이죠



물론 라이딩 뿐만 아니라 야외로 놀러갔을때,


어디서든 노래한곡이 필요한 순간이 찾아왔을때 정말 좋은것이 블루투스 스피커입니다.



저 역시도 하나쯤 있으면 좋겠다 싶었던차에, 20000원 초반대의 가격으로 하나 구매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구매한 Britz BZ-G100 입니다.


색상은 얼마전에 구매한 Britz BZ-m20 과 비슷한 빨검!!!



하앍하앍 역시 포장지 뜯는 손맛은 최고인겁니다!!







Britz BZ-G100 의 구성품은 스피커본체, 3.5파이 AUX케이블, micro USB 케이블, 설명서 입니다.








스피커는 본체 위쪽에 달려있으며, 외관은 두툼한 실리콘으로 감싸져 있습니다.



아무래도 충격으로부터 조금은 안전하겠네요







본체 뒤쪽에는 카라바너가 걸린 고리가 달려있습니다.


자전거탈때 떨어지지 않도록 걸어두기에 좋을것 같습니다.







작동버튼은 본체 아래쪽의 Britz 로고 옆에 있는데


음량조절버튼, 통화버튼, 전원버튼으로 총 4개 입니다.







본체 뒷편에는 AUX단자와 microSD카드 소켓, 충전단자가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BZ-G100 은 자체 mp3 재생기능도 있는겁니다.







그리고 좀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사양설명서를 보았습니다.


생활방수기능이 있고, 50% 소리로 6시간재생, 출력은 3W



무게는 0.2kg.... 응? 이것보다는 조금 더 무거운것 같은데;;;;







그리고 본격 작동테스트를 위해 갤럭시 S3와 연결해 보았습니다.






Britz BZ-G100은 전원을 눌러서 키면 자동으로 페어링단계를 거칩니다.


위 동영상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원버튼을 누르고 있으면 전원이 켜지는 멜로디가 나오고



뒤쪽 포트에서는 파란색 LED알림이 빠르게 깜빡입니다.


그리고 이때 기기에서 BZ-G100 을 검색해서 연결하면 됩니다.








그리고 노래를 재생시켜 보았습니다.



오.... 나름 음질이 훌륭합니다.







그리고 충전할때는 이렇게 붉은표시등이 뜹니다.









조작은 기기 전면의 버튼 네개로 할 수 있는데


독특한 점이 있다면 + - 버튼을 한번 누르면 다음곡 / 이전곡으로 이동합니다.



볼륨을 높이고 낮추기 위해서는 + - 버튼을 꾹 누르고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통화버튼을 한번 누르면 노래가 재생, 정지되고


두번 연속으로 누르면 전화 발신이 됩니다.




(음악감상중 전화가 왔을때 통화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음악재생이 정지되고, 통화가 진행됩니다)






마지막으로 간단한 음질테스트....



카메라가 싸구려 똑딱이인지라 주변 잡소리를 죄다 먹어버리네요;;;;


그래도 실제로 들어보면 영상속 음질보다는 훨씬 좋습니다.




다만 아쉬운점은 출력이 좀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최대음량이 약간 시끄럽긴한데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게다가 의외로 재생시간이 짧은 느낌.....




그래도 생활방수가 되는점, 저렴한가격에 만족할만한 음질,


microSD슬롯을 이용한 자체 mp3 재생기능 정도는 참 마음에 듭니다.






2015. 7. 29. 11:41

블루투스 이어폰 Britz BZ-m20 개봉기



저는 블루투스기능을 애용합니다.


컴퓨터를 할때, 스마트기기를 이용할때,


운동할때에도 항상 착용하는것이 블루투스입니다.



물론 유선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이용할 때보다


음질 저하가 심하기는 하지만 무선의 자유로움이란


그정도의 불편함을 상쇄하기에 충분합니다.



그리고 얼마전 사용하던 cosy 블루투스 헤드셋이 땀과 햇빛에 의해 삭아서 스스로 부스러져 버렸고


나름 고쳐보겠다고 튜닝을 시도해 보았지만 결국에는 사용불가상황이 되어버립니다.


블루투스 헤드폰을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개조하기 ver.1 http://jkman001.tistory.com/399



그리고 대용품으로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이용하고 있었던 와중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블루투스 이어폰으로 사용하기 http://jkman001.tistory.com/400



쿠팡에서 진행한 회원가입포인트와 할인쿠폰지급 이벤트를 이용해 블루투스이어폰 BZ-m20 을 구매했습니다.


원래 정가는 22,900원인데 2,900원에 구매했으니... 개이득!!!







그리고 도착한 블루투스이어폰 Britz BZ-m20 입니다.


원래는 넥밴드형 블루투스 이어폰을 구매하려 하였지만, 보나마나 운동할때 사용하면


땀과 햇빛에 하우징이 삭아버려 이전에 사용하던 기기처럼 될까봐 이어폰형으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더욱이 이보다 저렴한 COSY 제품도 있긴 했지만,


한때 Britz 스피커를 정말 잘 사용했던 기억 때문에 블루투스 이어폰 역시 Britz로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정품실을 떼어내면 포장상자가 열릴줄 알았으나, 훼이크.....


제품 설명이 적혀있습니다.







개봉은 상자 아래쪽의 봉인테이프를 제거하고 열어 주어야 합니다.







포장을 열어내고 내용물을 꺼내 보았습니다.







모든 구성품을 꺼내어 놓고 구성품은 무엇이 있나 살펴보았습니다.


BZ-m20 본체, 설명서, 여분의 이어폼팁과 이어후크, 충전케이블, 파우치가 들어 있습니다.



참고로 저는 블랙과 레드블랙 중 레드블랙으로 구매하였습니다.







그리고 본체를 꺼내어 이리저리 살펴보며 가지고 놀기 시작했습니다.



BZ-m20 본체는 그냥 컨트롤러가 달려있는 이어폰의 모양입니다.








컨트롤러에는 +, -, 재생 버튼이 있고 버튼 하단부에는 LED표시등이 있습니다.







컨트롤러 측면에는 micro 5pin 충전포트가 있습니다.


일반 스마트폰 충전기로 충전이 가능합니다만


요새 스마트폰 충전기는 웬만해서 출력이 5V-2A 인데 이점이 문제되지는 않나 싶더군요







그래서 설명서에 있는 제품 사양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Britz BZ-m20 에는 3.7V-110mA 용량의 배터리가 사용되었는데


충전전압은 5V, 충전전류는 100mA 라고 적혀 있습니다.



혹시나하여 PC USB단자에서 나오는 출력을 살펴보니 5V-460mA 로 측정되더군요


그래서 걱정을 좀 했지만....



에라 모르겠다 싶어서 출력 1A 충전기와 PC에 연결하여 충전해 보았는데 아무 문제 없었습니다.


아마도 내부배터리에 보호회로가 장착되어 있지 싶습니다.







충전도 어느정도 되었으니 이번에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기기와 연결하여 테스트 해 보아야겠죠








Britz BZ-m20 의 작동은 다른 블루투스기기와 마찬가지로 간단합니다.


컨트롤러의 재생버튼을 3초간 꾹 누르고 있으면 파란불이 깜빡이며 켜집니다.







BZ-m20이 켜진상태에서 재생버튼을 다시 3초간 누르면 붉은표시가 점멸되며 기기가 off 됩니다.







블루투스 페어링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재생버튼을 8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파란불빛과 빨간불빛이 번갈아가며 깜빡이는데, 이때 연결하면 됩니다.






BZ-m20 을 페어링 상태에 놓고 갤3과 페어링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블루투스를 켜고 찾기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BRITZ 를 누르면 연결이 됩니다.








우선은 Britz BZ-m20 을 갤럭시 S3에 연결하고 노래와 동영상을 감상해 보았습니다.



오.... 생각보다는 훌륭하네요


밀폐형이어폰이라 그래서인지 음질도 나름 충분합니다.


하지만 기기가 워낙 작고 가볍다보니 자칫 잃어버리기 딱 좋아보이는.....



조금더 자세한 사용기와 후기는 다음편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5. 7. 28. 09:54

2015년 8월 음력달력과 간지달력 보기



여러분들은 혹시 간지라는 단어를 아시나요?


요새 젊은이들이야 멋스러움의 표현방법으로


'간지'라는 신생어를 사용하지만, 우리 전통에서의


간지(干支)라는 단어는 10간12지를 부르는 말입니다.



10간12지를 뜻하는 간지는 동양권 역사에서 시작되었으며


결혼, 잔치, 기일등의 집안행사부터 농업에 사용되는 농사력에도 사용된 역사가 있습니다.


물론 현재에도 10간과 12지를 조합하여 만든 60간지는 두루두루 사용되고 있는데



조상님들의 기제사일, 집안어른들의 생신과 회갑연등의 잔치, 이사하는 날이라 부르는 손없는날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도 음력달력과 간지달력을 사용하고 있는바 2015년 8월의 음력달력과 간지달력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2015: 을미(乙未)

계미(癸未)(양력 716~ 813)

갑신(甲申)(양력 814~ 양력 912)

26

27

28

29

30

31

1

6.17

기유(己酉)

2

6.18

경술(庚戌)

3

6.19

신해(辛亥)

4

6.20

임자(壬子)

5

6.21

계축(癸丑)

6

6.22

갑인(甲寅)

7

6.23

을묘(乙卯)

8

6.24

병진(丙辰)

9

6.25

정사(丁巳)

10

6.26

무오(戊午)

11

6.27

기미(己未)

12

6.28

경신(庚申)

13

6.29

신유(辛酉)

14

7.1

임술(壬戌)

15

7.2

계해(癸亥)

16

7.3

갑자(甲子)

17

7.4

을축(乙丑)

18

7.5

병인(丙寅)

19

7.6

정묘(丁卯)

20

7.7

무진(戊辰)

21

7.8

기사(己巳)

22

7.9

경오(庚午)

23

7.10

신미(辛未)

24

7.11

임신(壬申)

25

7.12

계유(癸酉)

26

7.13

갑술(甲戌)

27

7.14

을해(乙亥)

28

7.15

병자(丙子)

29

7.16

정축(丁丑)

30

7.17

무인(戊寅)

31

7.18

기묘(己卯)

1

2

3

4

5



양력 2015년은 을미(乙未)년이고,


8월은 계미(癸未)(양력 716~ 813)과 갑신(甲申)(양력 814~ 양력 912)이 겹쳐 있습니다.


갑신(甲申)월의 1일은 양력 8월 14일이고, 계미(癸未)월의 마지막날은 양력 8월 13일 입니다.



아무쪼록 필요한분들께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혹시 지난달의 간지달력과 음력달력이 필요한 분들은 다음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4월 간지달력과 음력달력 보러가기 : http://jkman001.tistory.com/448


2015년 5월 간지달력과 음력달력 보러가기 : http://jkman001.tistory.com/463


2015년 6월 간지달력과 음력달력 보러가기 : http://jkman001.tistory.com/473


2015년 7월 간지달력과 음력달력 보러가기 : http://jkman001.tistory.com/4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