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203] 스키장슬로프 경사도에 대한 이야기
조금은 늦은듯 하지만 한방에 추워져버린 2014년의 겨울
갑작스런 동장군의 출현으로 차일피일 개장을 미루고 개장 후에도 임시폐쇠하던 스키장들이
추운 날씨와 강력한 정설능력을 토대로 빠른 정설후 속속들이 개장하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14/15 스키시즌이 돌아온 것이지요
그런데 스키/보드를 즐기는것에 대해 주의해야할점이 있다면 역시 슬로프의 선택입니다.
특히나 자신의 실력과는 맞지 않는 상급슬로프에서 함부러 스킹/보딩을 도전하게 빠른속도만큼 부상의 위험이 커지게 마련이지요
그런의미에서 오늘은 스키장에서 안내하는 슬로프맵속 슬로프의 경사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13/14 시즌동안 저의 베이스가 되어준 강촌엘리시안 스키장의 슬로프맵입니다.
이곳에는 총 9개의 슬로프가 있습니다. 물론 아직 개장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여기서 이게 중요한것은 아니고
경사도를 보면 단위가 % 입니다.
응???
보통 기울기를 표시할때는 도라는 단위를 이용하는데, 경사도에 %는 무슨의미일까요?
경사도(%) = (수직상승고도/수평이동거리) 로 계산합니다.
그럼 %단위는 각도단위로 어떻게 바꾸는가? 댓글로 ydh 님이 알려주신대로 arctangent를 이용하면 됩니다.
arctangent란 이등변삼각형에서 높이/밑변 을 의미하는 tangent를 역함수 취한건데 여기서는 뭐 그딴게 있다 라고 보면 되고,
계산은 arctan(%수치/100) 으로 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경사도 9%의 엘리시안 초급슬로프 팬더의 경사도를 %에서 각도단위로 바꾸면 arctan(0.09)=5.14도 가 됩니다.
가장 높은 경사도를 가지고있는 재규어 슬로프의 경사도를 같은방법으로 계산해보면 28.37 도가 됩니다.
그럼 모든 스키장이 경사도를 %로 안내하는가?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바로 위 사진은 강원도 정선에 위치한 하이원리조트 스키장의 슬로프안내표입니다.
스크린샷에 모든슬로프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이렇게 퍼센트가 아닌 우리에게 익숙한 도 단위로 표시한곳도 있습니다.
그나저나 V3 슬로프의 저 미친 기울기는 오금이 저리게 만드는군요 ㅎㅎ
위 스크린샷은 곤지암리조트의 슬로프제원을 나타낸 표입니다.
다른 리조트 스키장들과는 달리 이곳은 경사도를 퍼센트와 도단위 모두 표시하여 안내하고 있습니다.
다만 아쉬운점은 경사도가 평균경사도라는 것이지요
위 스크린샷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급한 경사도의 슬로프를 보유하고 있다는 무주덕유산리조트의 슬로프 제원표입니다.
이곳의 경우에는 슬로프의 경사도를 안내함에 있어 최고, 최저, 평균까지 표시해놓았습니다.
물론 경사도단위가 %가 아닌 도 단위였거나 곤지암리조트처럼 겸용표시해주었으면 더 좋았겠지만
평균경사도만 표시해놓은 엘리시안강촌이나 곤지암리조트보다는 더 자세하게 표시해놓은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덕유산리조트의 레이더스 상단의 최고 경사도는 76%군요.....
생각만 해도 무서워집니다;;;;;
여튼!!! 즐기기위해 찾아가는 스키장!!
슬로프 선택에 앞서 자신의 실력을 확실히 알고 슬로프를 선택해야 하겠으며
슬로프 선택에 있어도 단위를 헷갈리지 않고 선택해야 하겠으며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 초급슬로프에서 설질파악 및 시즌오프동안 잃어버렸던 감 되찾기, 보호장구착용 등
모두가 더욱더 안전하게 즐기는 14/15 시즌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